어디에서나 바로가기 기능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메뉴 이동은 알트 키 플러스 1 키이고, 본문 이동은 알트 키 플러스 2 키입니다.

투명하고 깨끗한 장례문화
예올림 의전협동조합이 앞정서겠습니다.

본문 영역

장례정보제공

기독교식 장례 절차

임종예배

  • 성도가 임종하면 담임목사께 가장 먼저 연락을 드리고, 목사님께서 오시면 임종예배를 드리고 장례 일정 및 제반사항을 의논한다. 기독교 예식은 제사상 같은 상차림과 곡은 하지 않고, 검소하고 경건한 마음과 엄숙한 분위기 가운데 장례를 진행한다.

입관예배

  • 모든 유족들이 빠짐없이 다 모이는 시간을 정하고, 이 유족들이 마지막 고인의 모습을 지켜보는 가운데 깨끗하게 씻긴 후, 수의로 갈아 입히고 입관을 마친 후 목사님 집례 하에 참여 한 성도님들과 함께 입관예배를 드린다. 상복은 남자는 검정색 계통의 양복에 완장을 착용하고, 여자는 흰색이나 검정색 치마저고리로 복장을 통일되게 한다.

발인예배 (출관 전 드리는 예배)

  • 가능하면 발인예배 시와 하관예배의 순서지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1. 묵 도 : 다같이.
    2. 찬 송 : (291장, 293장, 543장 등) 다같이
    3. 기 도 : (기도담당자 : 장로님 또는 부목사님)
    4. 성경봉독 : 예)고후 5장 1절, 디전 6장 7철, 요 11장 25~26절, 고전 15장 42~44절 등.
    5. 찬양(특송) : 준비된 교회만
    6. 설 교
    7. 약력보고 : 유가족 대표 또는 교회 대표
    8. 찬 송 : 다같이
    9. 인사 및 광고 : 유가족 측
    10. 헌 화
    11. 축 도 : 목사님

하관예배

  • 집례:○○○목사님 설교:○○○목사님
    1. 묵 도 : 다같이.
    2. 찬 송 : 다같이
    3. 기 도 : 기도담당자 (장로님 또는 부교역사 집사님)
    4. 성경봉독 : 고전 15장 51~58절 등(부활의 본문 중)
    5. 설 교
    6. 찬 송 : 다같이
    7. 광 고
    8. 축 도 : 목사님
    9. 취 토 : 유족일동

불교식 장례 절차

개식사

  • 호상이 한다.

삼귀의례

  • 주례승이 하며 불, 법, 승의 세 가지 귀한 것에 돌아가 의지한다는 불교의식의 예.

약력보고

  • 고인을 추모하는 뜻에서 고인과 생존 시에 가까웠던 친구가 한다.

착어

  • 주례승이 고인을 위해서 부처님의 교법의 힘을 입어 고인을 안정시키는 말이다.

창혼

  • 주례승이 하며 극락세계에 가서 고이 잠들라는 것으로 요령을 치며 한다.

헌화

  • 친지 대표가 한다.

독경

  • 주례승과 참례자 모두가 고인의 혼을 안정시키고, 생존 시의 모든 관례를 잊고, 부처님 세계에 고이 잠들라는 염불이다.

추도사

  • 초상에는 조사라고 하며 일반에서는 하는 것과 같다.

사홍서원

  • 주례승이 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다.
    • 중생무변서원도 : 즉 중생은 끝이 없으니 제도하여 주기를 맹세하는 것.
    • 법문무량서원학 : 즉 불교의 세계는 한량이 없으니 배우기를 원한다는 것.
    • 번뇌무진서원단 : 즉 인간의 번뇌는 끊기를 원하는 것.
    • 불도무상서원성 : 즉 불도 보다 더 훌륭한 것이 없으니 불도를 이루기를 맹세코 원한다는 것.

폐식을 선언한다.


천주교식 장례 절차

종부성사

  • 운명할 때 행사는 성사이다. 신부가 오면 상 위의 촛대에 불을 켜고 별자가 고백성사를 할 수 있도록 다른 사람은 모두 물러가 있는다. 고백성사가 끝나면 신부는 종부성사를 행사고 노자 성체를 영해 준다.

운명

  • 임종이 다가오면 임종경을 잃으며 그 영혼을 위하여 기도한다. 염경은 숨이 그친 뒤에도 잠시 동안 계속하는 것이 좋다. 큰소리로 통곡을 하거나 흐느끼게 되면 죽는 이의 마음에 불안을 주게 되므로, 거룩한 기도문이나 성가를 들려주어 평온한 마음으로 눈을 감게 한다.

초상

  • 숨을 거두면 시신에 깨끗한 옷을 입혀 손발을 제자리에 정돈해 준다.
    손은 합장을 시켜 묶거나 십자고상을 쥐어주고 눈은 감기고 입은 다물게 한다.

초상

  • 숨을 거두면 시신에 깨끗한 옷을 입혀 손발을 제자리에 정돈해 준다. 손은 합장을 시켜 묶거나 십자고상을 쥐어주고 눈은 감기고 입은 다물게 한다.
    머리맡의 상 위에는 고상을 모시고 그 좌우에 촛불을 켜며 성수를 놓는다. 입관할 때까지 이런 상태로 두며 가족들은 그 옆에 꿇어 앉아 연도를 한다. 염경이 끝날 때 마다 시체에 성수를 뿌린다. 만 하루가 지나면 정해진 경을 왼 뒤 성수를 뿌리고 시체를 염한다.

연미사

  • 병자가 세상을 떠난 사실을 본당 신부에게 보고하고 연미사(위령미사)를 청 한다. 또 신부와 의논하여 장례일과 장례미사시간을 결정한다.

장례식

  • 장례일이 되어 출관할 때는 모든 이가 함께 관 앞에 고상을 향하여 꿇어 앉아 경을 왼다. 이어 관을 들어 발인하여 영구를 본당으로 옮기고 연미사를 거행한 뒤 장지로 옮긴다. 관을 묻으면 사제는 성수를 뿌리며 마지막 기도를 올린다. 장례 후 3일, 7일, 30일에 또 소상과 대상 때 성당에서 연미사와 가족의 영성체를 행한다.

염습의 의미

염습이란?

  • 염습이란 운명한지 만 하루가 지난 후 탈지면이나 거즈로 시신의 머리와 온몸을 닦은 다음에 수의를 입히고 염포로 묶는 것을 말한다. 옛날에는 염습의 절차가 복잡했으나 요즈음에는 목욕물과 수건, 속바지, 속적삼, 깨끗한 겉옷 등의 수의를 한 번에 입힐 수 있도록 준비하면 된다.
    • 남자의 시신은 남자가 여자의 시신은 여자가 염습을 하며, 시신을 깨끗이 닦은 후 준비된 수의를 아래 옷부터 웃옷 순으로 입힌다
    • 옷고름은 매지 않으며, 옷깃은 오른쪽으로 여민다.
    • 수의를 다 입히고 나면 손발을 가지런히 놓고 이불로 싼 다음 가는 베로 죄어 맨다
    • 시신을 씻은 물과 수건 등은 땅을 파고 묻는다. 또한 망인이 임종 전에 입었던 옷가지도 태워서 땅에 묻는다.
    염습 이란 원래 의복을 겹쳐 입는 것을 의미한다고도 하나 최근에는 옷을 겹쳐놓고 시신을 목욕시킨 후 수의를 입히는 절차를 말한다.

    소렴은 수의를 입힌 다음 매장포로 시신을 싸서 단단히 동여매는 절차이며, 대렴은 입관 시키는 것이다. 최근에는 사망 다음 날 염습이라 하여 습과 소렴, 대렴이 한꺼번에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습의 순서

  1. 옷을 입힐 때 가능한 시신을 덜 움직이고 한 번에 옷을 입힐 수 있도록 속옷을 겉옷에 끼워 넣어 입히기 좋게 겹쳐 입히는 순서대로 놓는다.
  2. 병품을 걷어낸다.
  3. 홑이불을 한쪽에서 들도록 하고 수시할 때 동여매었던 끈을 푼다. 풀어낸 끈은 밑에서 한 곳으로 몰아 한꺼번에 빼낸다.
  4. 수시복을 벗겨 낸다.
  5. 목욕을 시킨다.
    • 목욕을 시키는 물은 향물 혹은 깨끗한 물이나 알코올을 시용한다.
    • 탈지면이나 수건(타월)에 목욕물을 적시어 발부터 거슬러 올라가며 몸 상체 팔 손 순서로 닦아 낸다.
    • 얼굴은 수의를 입힌 후에 씻기고 반함을 한다.
  6. 양쪽 손톱을 깎아서 주머니에 담아 악수를 하고, 발톱을 깎아 주머니에 담고 버선을 신긴다.
  7. 아래 옷(남자는 바지, 여자는 속바지와 치마)을 입힌다.
  8. 윗옷을 입힌다.
  9. 수의를 잘 여며 마무리하고 습신을 신긴다.
  10. 얼굴을 씻기고 머리를 감긴 후 반함을 한다.
    • 반함이란 쌀이나 구슬을 입안에 물리는 것으로 입안을 깨끗이 닦아낸 다음 쌀을 떠서 입에 넣는데 먼저 오른편, 다음에 왼편, 그리고 가운데를 넣는다. 구술도 똑 같은 방법으로 물린다.
  11. 반함이 끝나면 충이를 하고 명목으로 얼굴을 감싼다.
  12. 머리카락을 담은 오낭을 복건이나 여모 속에 넣고 씌운다.
  13. 얼굴이 움직이지 않도록 턱에 보공을 하기도 한다.

소렴(小斂)

  • 수의를 입힌 시신을 의금(依衾)으로 수렴한다는 뜻으로, 이불(소렴금이라고도 함)로 사서 매포 염포로 단단히 묶는 것이다.

대렴(大斂)

  • 시신을 관속에 입관 시기는 과정을 말한다. 포로 싸서 들어서 입관시키기도 하나, 최근에는 관속에 염포를 깔고 요를 깐 후. 시신을 옮긴 후 천금을 덮고 염포를 덮은 후 보공을 하고, 관 뚜껑을 덮은 후 명정과 관보를 씌우기도 한다. 영좌(靈座)를 설치하고 혼백(魂帛)을 둔다. 최근에는 사진으로 대신하는 것이 상례(常禮)이다. 병원에서 할 경우에도 본인이 평소에 준비한 수의가 있으면 이용할 수 있으며. 자손이 목욕시키고 수의를 입히는 것도 가능하다.

염습의 순서

  • 염습이란 탈지면이나 거즈로 시신의 머리와 온몸을 깨끗이 닦고, 머리를 단정하게 빗겨주고, 수의를 입혀준 다음 입관하는 절차로서, 치장 중에서 가장 중요한 절차이다.  

    [준비물] 수의, 대야, 수건(탈지면), 목욕물(향물, 알코올), 칼, 불린 쌀, 나무로 만든 수저, 구슬(혹은 동전), 관(관보, 명정 등), 망치, 보공 용품 (최근에는 두루마리 휴지를 사용하기도 함)

    전통상례에서는 빠진 머리카락과 깎은 손톱을 오낭(다섯 개의 주머니)에 넣었지만, 지금은 두 개의 주머니만 준비해 이를 각각 넣는 것이 보통이다.
     
    1. 수의를 입힌다
      • 시신을 깨끗이 닦고 수의를 입히는 절차를 고례(古禮)에서는 습이라 했다. 수의가 준비되었으면 수의를 입히지만 준비가 되지 않았으면 입던 옷 중에서 섬유질로 된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히면 된다.

        수의는 모두 오른쪽으로 여미어 수의를 입히면 반함에 임한다. 반함은 생쌍를 버드나무 숟가락으로 떠서 입안의 좌, 우, 중앙에 각각 한 숟가락씩을 넣고 동전 혹은 구멍이 뚫리지 않은 구슬을 넣어 준다. 이는 먼 저승길에 가기 위한 식량과 여비라 하지만, 최근에는 무의미하다 하여 생략하는 경향이 있다. 

        ※수의(壽衣)를 입히는 순서(아래 내용은 옛날 풍습으로, 현대와 조금 다른 점이 많다.) 
        - 수의는 시신을 염습할 때 입히는 옷이므로 염습 절차에 따라 입히게 된다. 염습은 장례 절차에 따라 크게 나누어 습, 소렴, 대렴의 순서로 이어진다.
        • 습 : 망자의 몸을 씻기고 진습의를 하는 것으로사망한 당일에 행하는 절차이다.
          제일 겉옷인 심의를 펴 놓고 중치막을 심의에 끼운다.
          저고리에 적삼을 끼워 뒷고대와 좌우 소매 끝을 명주실로 꿰메어 놓는다.
          바지 속에 속바지를 끼워 허리를 꿰맨다. 먼저 버선을 신기고 바지를 입힌 다음 허리띠를 매고 대님과 행전을 친다.
          다음에 사의인 저고리와 중치막을 끼운 심의를 입힌다.
          망건과 복건을 씌우고, 충이로 귀를 막고, 명목으로 얼굴을 싸고, 조대를 매고, 습신을 신긴다.
        • 소렴 : 습을 한 다음날에 한다(현대에 와서는 습, 소렴, 대렴을 한 날 한 시에 행한다)
            횡교포(橫敉布)를 가로로 놓고 그 위에 종교포(縱敉布)를 길이로 놓은 다음 소렴금을 펴 놓는다.
          그 위에 상의를 놓고 시신을 놓은 다음 목 밑의 보공(補空)은 솜이나 옷감으로. 어깨보공은 저고리로.
          무릎 밑의 보공은 바지로 한다. 금(衾)으로 싼 다음 교포로 묶는다.
        • 대렴 : 대렴은 소렴 다음날 행합니다.
          대렴상(大殮床) 위에 자리를 펴고 횡교포, 종교포 대렴금 상의(원령이나 도포)를 놓고 시신을 놓은 다음. 금을 좌우로 여민 뒤 교포로 묶는다. 관의 밑바닥에 회(灰)를 깔고 칠성판(七星板) 놓고 그 위에 지요를 '깔고 다시 그 위에 대렴한 시신을 놓는다. 오남을 좌우에 넣고 평상시에 입던 옷으로 관을 채워 보공한 뒤, 천금을 덮고 다시 천판을 덮은 뒤 못을 박고 관 위에 구의를 덮어씌운다.
    2. 이불로 덮는다.
      • 습이 끝나면 소렴금(小殮衾)으로 싸서 일곱번 묶는데, 매듭 없이 하며 다시 칠성판에 옮겨 대렴금(大殮衾)으로 싸서 장포 횡포로 묶는다. 이렇게 하여 습이 끝나면 깨끗한 백포로 덮어 입관하는 것이 좋다.

수의 : 염습(殮襲)할 때 시체에 입히는 옷

  • 세제지구(歲製之具)라고도 한다.

    유교에 따른 의식을 치르기 전 한국의 옛 수의가 어떠한 것인지는 확실치 않으나,사람이 죽어서 입는 옷이니만큼 당시의 성장(盛裝)으로써 수의를 삼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수의는 주로 윤달에 마련하는데 하루에 완성하여야 하고 완성된 것은 좀이 쓸지 않게 담뱃잎이나 박하 잎을 옷 사이에 두어 보관하며,칠월 칠석에 거풍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관(冠) • 혼(婚) • 상{喪) • 제(祭)의 사례(四禮)를 유교, 특히 <주자가례(朱子家禮)>에 준하여 거행하였다. 

    수의는 <사례편람(四禮便覽)> 상례조(喪禮條)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남자는 복건(幅巾)·망건(網巾)·심의(深衣) 또는 단령(團領)·답(褡:소매 없는 氅衣) 또는 직령(直領)·대(帶:條帶)·과두(裹頭:배와 허리를 싸는 것), 포오(袍襖:中赤莫)와 같은 설의[褻衣], 한삼(汗衫:몸에 다는 小衫, 속칭 적삼)·고(袴)·단고(單袴:속바지)·소대(小帶:허리띠)·늑백(勒帛:속칭 행전)·말(襪)·구(屨)·엄(掩:裹首)·충이(充耳)·멱목(幎目:覆面)·악수(握手:裹手)를 갖추었다.

    여자의 경우는, 사(纚)·심의 또는 단의(褖衣) 또는 원삼(圓衫)·장오자(長襖子:속칭 長衣)·대·삼자(衫子:속칭 唐衣)·포오(속칭 저고리)·소삼(小衫:적삼)·과두(裹肚:속칭 요대)·상(裳)·고·단고·말·채혜(彩鞋)·엄·충이·명목·악수 등이다. 위의 수의는 관습화하여 오늘날에도 특수한 종교의식에 의한 염습 외에는 이를 따르며, 후박(厚薄)이 있을 뿐이다.

윤달수의

  • 윤달은 일반적으로 전통 태음력(太陰曆])에서 19년 동안 7번의 윤달을 넣어 책력(冊曆)과 계절(季節)를 일치시켰는데명칭은 윤월(閏月),윤삭(閏朔),윤여(閏餘) 등으로 불린다.

    윤달은 일 년 중 한 달이 가외로 더 있는 달이기에 모든 일매 부정(不淨)을타거나 액(厄)이 끼이지 않는 달로 인식되어 왔다. 그래서 주로 집안의 수리나 이사(移徙)를 하기도 하고 특히 혼례(婚禮)를 올리는 날로 잡거나 집안 어른의 수의(壽衣)를 만들어 놓으면 좋다 하여 윤달에 많이 거행한다.

가진수의란?

  • 격식을 갖춘 수의라는 뜻으로 수의 복을 포함한 부속 류 일체를 말한다.

평수의란?

  • 가진 수의에서 장매 천금(이불)과, 지금(요) 도포(남) 또는 원삼(여)이 제외된 수의로서 옛날 평민 이하 하류계층의 사람들이 이용하던 수의이며, 근래에는 행려자 등에서 사용한다. 

세(細)란?

  • 올의 가늘고 굵음을 뜻하며 1세는 80가닥의 올을 말한다.
 
본문 공유 설정
TOP
사용자 영역
  1. CREATIVE THINK 창의적 생각
    남들은 생각 못 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합니다
  2. OVER THE BEST 최고의 품질 
    최고의 전문가들이 최고의 결과물을 만들어냅니다
  3. SURPRISE 놀라움
    고객에게 만족을 넘어 놀라움을 드립니다
  4. OVER THE BEST 최고의 품질 
    최고의 전문가들이 최고의 결과물을 만들어냅니다
  5. SURPRISE 놀라움
    고객에게 만족을 넘어 놀라움을 드립니다
  6. OVER THE BEST 최고의 품질 
    최고의 전문가들이 최고의 결과물을 만들어냅니다